터미네이터3: 라이즈 오브 더 머신 Terminator3: Rise Of The Machines, 2003





조나단 모스토우 감독, 아놀드 슈왈제네거 주연의



<터미네이터3: 라이드 오브 더 머신> 입니다.



12년만에 돌아온 <터미네이터> 의 세 번째 시리즈로



오랜만에 ‘아놀드 슈왈제네거’ 의 ‘터미네이터’ 연기를 볼 수 있습니다.


 



2003년이면 ‘아놀드’ 의 나이가 만 56세 일 때인데,



전성기보다는 못하지만 여전히 탄탄한 체구를 보여주더라구요.




처음엔 이제 너무 나이가 많지않나? 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영화를 보면서 괜한 생각이었구나 싶었어요.




이 영화는 <터미네이터2> 에서 이어지는 스토리로



성인이 된 ‘존 코너’ 를 보실 수 있습니다.



막 미래에 저항군의 지도자라는 설정인데,



겉모습은 좀 약해보이는 이미지라서



저항군의 리더를 맡기에는 너무 약해보이더라구요.



아직은 저항군 리더는 아니지만....



그리고 여자 주인공도 좀 아쉬웠는데,

 

전작들의 '사라 코너' 가 안나온 것도 아쉽지만,

 

이번 여자주인공은 별다른 활약도 없습니다.

 

영화 내내 도망만 다니고, 이렇다할 뚜렷한 활약은 보여주질 않죠.

 

'사라 코너' 와는 너무 대조적인 활약이 너무 아쉬웠습니다.



이제 영화 기술도 많이 발전하여,



전작들보다 더 화려해지고 스케일도 커졌습니다.



스토리 자체의 스케일이 커진 건 아니지만,



볼거리가 아주 다양해졌습니다.



 



일단 새로운 터미네이터 T-X가 나오는데,



기존의 터미네이터 T-800에 2에 나왔던 액체 터미네이터인 T-1000을 합친 것 같은 로봇입니다.




기존 뼈대에 외치가 액체 금속으로 이루어졌고,



총격이나 감전 등에 대한 내성도 더 뛰어나고,



첨단 무기들, 화염방사기나 에너지포같은 무기들도 탑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가장 뛰어난 능력인 모든 기계를 감염시켜 조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특이한 점은 이번 터미네이터는 여성형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전작들에 비해 터미네이터로써 큰 공포감을 조성해주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2편에 나온 T-1000은 쫓아오면 저지할 방법이 딱히 없는 공포감을 조성해주지만,

 

이번 작의 T-X는 골격이 있어 좁은 통로는 쫓아오지 못하는 모습 등을 보여줍니다.

 

그러니까 T-1000보다 공략법이 더 뚜렷하게 보이는 거죠.

 

그리고 남성 관람객들에게는 T-X가 너무 매력적인 여성의 모습을 하고있어서

 

공포감을 덜 느낄 수도 있겠네요. ㅎㅎ

 

 

그리고 또 아쉬운 점은 스토리입니다.

 

전작들은 운명은 바꿀 수 있다. 라는 메시지를 메인으로 영화가 진행되지만,

 

이번 작은 정해진 운명은 바꿀 수 없다. 라는 식의 내용입니다.

 

전작들은 희망을 갖고 정해진 운명에 맞서면 운명을 바꿀 수 있다는 메시지가

 

저는 개인적으로 너무 마음에 들었습니다.

 

하지만 이번 작에서는 전혀 다른 메시지가 담겨있어 조금 아쉬웠어요.

 

 

최신식 터미네이터에 맞서는 구식 터미네이터와 인간들.

 

강력한 파워를 앞세운 대결이 손에 땀을 쥐게합니다.

 

좀 단순하게 싸우는 면이 있지만,

 

집어던지고 날리고 하는 액션이 그래도 통쾌함을 주네요.

 

그리고 여성형 터미네이터가 색달라 좀 인상적이긴 합니다.

 

명작인 전작들을 결코 뛰어 넘을 수 없는 작품이지만,

 

그래도 터미네이터로 다시 돌아오신 '아놀드 슈왈제네거' 를 볼 수 있어 너무 반갑고,

 

더 커진 스케일에서 터미네이터 끼리의 대결을 볼 수 있는 점은 재미있었습니다.

 

여러분들도 시간 나실 때 봐보시죠.

 

재밌긴 재밌습니다.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Harry Potter And The Sorcerer's Stone, 2001







크리스 콜럼버스 감독, 다니엘 래드클리프, 엠마 왓슨, 루퍼트 그린트 주연의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입니다.



‘조앤 K. 롤링’ 의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된 작품입니다.



판타지란 마법세계에서의 주인공의 성장과 모험을 그린 영화입니다.




이 영화에서 우리는 귀여운 주인공 3인방을 만날 수 있습니다.




지금이야 다들 성인되어 귀염성이 잘 안보이지만 그래도 ‘엠마 왓슨’ 은 여전히 귀엽고 이뿌더군요.

 




당시 어린아이 3명이 판타지 소설계의 명작으로 뽑히는 <해리포터> 시리즈의 주인공을 맡으며,




큰 화제가 되면서 다양한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죠.




게다가 이런 거대한 시리즈의 세계관의 주인공을 맡는다는게 큰 부담일 수도 있는데,




영화가 끝난 뒤에는 괜찮은 호평을 이끌어내며 흥행에 성공하게 돼죠.




특히 이 영화로 인해 ‘헤르미온느’ 역을 맡은 ‘엠마 왓슨’ 이 빵 뜨게 됩니다.




여담이지만, 외국인한테 ‘헤르미온느’ 라고 하면 못알아듣습니다.




‘헤르미온느’ 를 영어로 표기하면 ‘hermione’ 인데, 발음이 ‘허-ㄹ마이오니’ 가 됩니다.




그러니까 ‘헤르미온느’ 는 사실 콩글리쉬인거죠.




아무튼 이 작품으로 ‘엠마 왓슨’ 을 포함한 3명은 전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아역배우가 됩니다.

 




배경이 워낙 판타지한 마법세계라 별의별 마법들을 볼 수 있습니다.




마법이라 그래서 개임처럼 마나를 이용해서 불덩어리를 던지는 그런 마법이 아니라,




인간들에게 편의를 제공해주는 마법이 대부분입니다.



물론 공격 마법도 있지만 불덩어리를 던지는 마법은 영화상에서 보지 못했습니다.




다양한 마법을 비롯해서 환상속의 동물들이나 신화 속의 동물들도 볼 수 있습니다.




유니콘, 켄타우로스 등 다양한 동물들이 나오더군요.


 

 


사실 저는 ‘해리포터’ 에 대해 전혀 알지못하고 영화를 봤습니다.




소설이 원작인지도,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베스트셀러인지도 몰랐었죠.




그랬는데 알고봤더니 저런 타이틀을 가지고 있었고,




소설이 베스트셀러라서 그런지 영화도 판타지영화지만




탄탄한 스토리를 바탕으로 잘 만들었더군요.






그래도 제가 보기에는 조금 지루한 면도 있더군요.



제가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는 스토리는 탄탄하지만 전개속도가 조금 느리지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첫 작품이라 배경설명이나 인물들에 대한 설명이 많아서 그런 것 같긴한데,




좀더 다이나믹함이 있었으면 싶더라구요.



게다가 몰르고봐서 그랬겠지만



마법세계가 배경인데 왜 마법을 막 쓰거나 그런게 없지? 하고 봤습니다.




판타지 소설이나 판타지 애니메이션, 만화책에 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불덩어리 날리고 전기 쏘고하는 마법을 생각 했었거든요.




그랬는데 이 영화를 보고 좀더 다른 관점으로 생각을 해볼 수 있었습니다.

 

 

 




이 영화에서 가장 다이나믹한 장면은 ‘쿼디치’ 라은 스포츠를 하는 장면인데,




럭비같은 스포츤데 마법 빗자루를 타고 날아다니면서 공을 쫓는 스포츱니다.




이 영화에서 가장 위문이 드는 장면인데,



저는 이 장면이 왜나오는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단지 주인공의 빗자루 실력을 뽐내기 위한것인지,



제가 내용 이해를 잘 못한 건가요? ㅎㅎ



굉장히 스피드한 장면이고 재밌긴한데,



꼭 필요한 씬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남더라구요.

 




<해리포터와 마법사의 돌> 은 스토리도 탄탄하고 잘짜여져 있습니다.



판타지한 마법세계에 스릴러적인 요소도 들어있고, 반전도 있어 참 다양한 재미를 줍니다.



하지만 주인공이 어린아이들이라 그런지



어린아이들로서는 한계가 있는 모험이고,



제가보기에는 약간 지루하기도 한 모험이었습니다.



그래도 세계 베스트 셀러답게 잘짜여져있는 스토리와 연출은 괜찮았습니다.




어린아이들을 주인공으로 캐스팅한 것도 신의 한수였구요.




원래 원작도 어린아이들이 주인공이긴 하지만.....



아무튼 성인들이 보기에는 너무 순수함이 묻어있는 판타지 영화였습니다.








엑스맨: 최후의 전쟁 X-Men: The Last Stand, 2006


 







브렛 레트너 감독, 휴 잭맨, 이안 맥켈런, 패트릭 슈트어트, 팜케 얀센 주연의




<엑스맨: 최후의 전쟁> 입니다.



‘휴 잭맨’ 이 다시 ‘울버린’ 으로 출연한 작품으로



‘엑스맨’ 시리즈에서 인간 대 돌연변이의 갈등을 가장 극대화시킨 작품입니다.



 




‘휴 잭맨’ 의 울버린을 다시 볼 수 있어 반가웠습니다.



멋진 클로와 마초적인 이미지는 여전하더군요.



이번 작도 ‘울버린’ 을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됩니다.



이번에는 인간들이 돌연변이 치료제를 개발하면서



그에 반발하는 돌연변들과 치료하려는 인간들 사이의 갈등을 보여줍니다.



돌연변이들이 반발하는 이유는



‘우리들은 병에 걸리지 않았다.’ 라는 주장입니다.



사실 맞는 말인 것 같지않습니까?



병은 아닌게 사실이니까요.



그냥 보통 인간과는 조금 다르게 생기거나 다른 능력을 가졌을 뿐,




어디가 아프거나 한게 아니니까 병은 아니라는 거죠.



그런데 보통 인간들이 멋대로 병으로 치부하고 치료한다 하니까 갈등이 생기는 것이죠.


 



그런 인간과 돌연변이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엑스맨’ 이구요, 그런 갈등 속에서도 누구하나 다치지 않기를 바라는 사람들이 ‘엑스맨’ 입니다.




사실 그동안 <엑스맨> 시리즈에서 보여주고자 했던 점이 인간 대 돌연변이였습니다.




그러한 점을 이번 작품에서 극대화 시킨 것이구요.







<엑스맨> 시리즈에서 악당이라고 치부해왔던 ‘메그니토’ 도 그의 관점과 입장에서 보자면 악당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에게 멸시와 차별을 받으면 열받는 것은 당연하듯이




인간들에게 멸시와 차별을 받아 열받은 돌연변이들의 대표가 ‘메그니토’ 일 뿐이죠.




결국은 입장차이일 뿐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메그니토’ 라는 캐릭터에 대해 아는 분들 중에는 ‘메그니토’ 팬분들이 많습니다.



 


이런 내용을 담고는 있지만, 많은 분들에게 좋은 평을 받지 못한 영화입니다.




영화가 스케일은 더 커졌지만, 영화의 부피만 커졌을 뿐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나 그런 뜻을



온전히 영화 내부에만 머물고 있지 보여주질 못했습니다.



전작들에서는 캐릭터들간의 활약도 눈에 두드러졌으나



이번 작에서는 캐릭터들의 활약도 미미하게 연출되었습니다.



캐릭터들의 두드러진 활약도 없고 그렇다보니



영화에 몰입도도 떨어지면서 관객들을 사로잡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작의 ‘울버린’ 도 조금 아쉬웠습니다.



당연히 다른 캐릭터들 보다야 뛰어났지만,



그래더 전작들에 비교하면 카리스마를 분출하던 모습도 덜하고,




전투씬에서 휘젓고 다니는 활약도 별로 없습니다.




그래도 클로를 뽑아드는 모습은 멋지지만요.ㅎㅎ

 



이 영화에서의 명장면은 미국의 ‘금문교’ 를 ‘메그니토’ 가 통째로 뜯어서 옮기는 장면입니다.




다리 하나를 통째로 뜯어서 이동수단으로 삼았다는게 정말 뛰어난 연출이었죠.



그 장면 만큼은 흥미있게 보았습니다.



그리고 역시 ‘미스틱’ 은 매력적이었어요.



외모가 보통 인간들과는 다르지만 항상 매력을 뽐내왔던 ‘미스틱’ 은 이번 작에서도 매력적이었습니다.




 


인간 대 돌연변이의 최후의 결전.



그속에서 ‘엑스맨’ 들은 어떤 활약을 보여줄까요?



보통 인간들과 돌연변이들은 화해할 수 있을까요?



영화를 통해 확인해보시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