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조: 황제의 반란 The Assassins, 2012


▶개봉: 2012.10.18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드라마, 액션

▶국가: 중국

▶러닝타임: 107분

▶감독: 조림산

▶출연: 주윤발, 유역비, 소유봉, 타마키 히로시


 황제를 넘어선 절대 영웅, 조조를 제거하라!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입니다. 삼국지의 ‘조조’ 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황궁 내에서의 싸움을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역사 속 사실이나 소설 속 이야기와는 차이가 있지만 ‘조조’ 만의 멋진 캐릭터를 잘 살려낸 것 같고 ‘조조’ 에게 가려진 비운의 황제인 ‘헌제’ 도 잘 보여준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영저’ 라는 인물이나 ‘목순’ 이라는 인물도 괜찮았고 ‘조조’ 를 암살하기 위한 많은 계책과 그런 계책을 받아 내는 ‘조조’ 의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이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은 ‘조조’ 와 ‘영저’, 헌제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진행됩니다. ‘조조’ 의 그늘에 가려 황제지만 허수아비 황제 신세인 헌제와 어릴 때부터 ‘조조’ 를 죽이기 위해 길러진 ‘영저’ 그리고 황궁의 절대권력인 ‘조조’ 사이의 서로를 견제하면서 눈치 싸움이나 계책을 펼치는 장면들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사이에 ‘조조’ 의 아들 ‘조비’ 도 끼어 있고 ‘복황후’, ‘복완’ 등 역사 속 실존 인물들의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실제 역사나 소설 속 이야기와는 조금 다른 내용, 다른 역할이지만 ‘조조’ 를 전면에 내세운 작품이라 좋았습니다.

 이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은 비슷한 삼국지를 소재로 제작된 다른 작품들과는 다릅니다. 영화 <삼국지: 용의 부활>이나 <적벽대전 1부: 거대한 전쟁의 시작>, <적벽대전 2부: 최후의 결전>, <삼국지: 명장 관우> 등의 작품들은 각 영화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스케일의 크기를 떠나 많은 액션을 볼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액션을 내세운 스토리가 아닌 황궁에서의 스토리를 중점적으로 볼 수 있는 역사 드라마 느낌의 작품입니다. 말년의 ‘조조’ 를 중심으로 황궁에서의 스토리를 볼 수 있습니다.

 이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은 개인적으로는 제목이 조금 아쉬웠습니다. 삼국지 팬들을 겨냥해서 ‘조조’ 라는 이름을 제목에 넣은 것 같은 한국식 제목인 것 같은데 원제는 <The Assassins>입니다. 직역하면 ‘암살자’ 인데 처음에는 이 영화가 ‘조조’ 를 주인공으로 진행되는 삼국지 소재의 영화라서 많은 기대를 안고 보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영화를 보다 보면 ‘조조’ 중심의 스토리이고 ‘조조’ 라는 인물을 잘 묘사하긴 했지만 ‘조조’ 을 암살하려는 자들의 관점에서도 굉장히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제목을 ‘조조’ 한 인물만을 위한 제목이 아닌 다른 관점도 표현이 된 제목이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은 생각을 해봤습니다.

 이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의 주인공 ‘조조’ 는 배우 ‘주윤발’ 이 연기하였습니다. ‘주윤발’ 외에도 ‘유역비’ 나 ‘소유봉’ 등도 등장하지만 ‘주윤발’ 만큼이나 확실하게 멋짐을 보여주는 인물은 없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유역비’ 의 연기에서는 어색함을 느꼈고 ‘소유봉’ 에게서는 인물 설정이 약간 찌질한 인물이라 그런지 멋은 없었습니다. ‘타마키 히로시’ 라는 배우도 등장하는데 역시 어색한 느낌이 있었습니다. ‘주윤발’ 은 계략에 능하고 심리를 잘 이용할 줄 아는 ‘조조’ 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데 감정 연기도 좋았고 존재감, 비중 모두 확실하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주윤발’ 의 또 다른 멋진 모습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역적인가, 충신인가.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이었습니다. 삼국지 속 인물들의 엮고 엮이는 나라의 운명을 건 치밀한 황국 싸움을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삼국지 속 유명한 인물인 말년의 ‘조조’ 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진행되고 헌제와 ‘영저’ 라는 인물들이 얽히고 섥혀 계략과 심리 싸움을 펼칩니다. 액션을 중점적으로 내세운 작품이 아닌 황국 내에서의 역사 드라마를 보는 듯 했고 배우 ‘주윤발’ 이 보여주는 ‘조조’ 의 멋진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소신은 더 이상 폐하를 지켜드릴 수 없습니다.’ 영화 <조조: 황제의 반란> 재밌게 봤습니다.


걸캅스 Miss & Mrs. Cops, 2018


▶개봉: 2019.05.09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코미디, 액션

▶국가: 한국

▶러닝타임: 107분

▶감독: 정다원

▶출연: 라미란, 이성경


 경찰마저 포기한 사건. 우리가 일.망.타.진. 한다! 영화 <걸캅스>입니다. 전직 여형사와 현직 여형사가 뭉쳐 함께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작품입니다. 한 명은 전설적인 전직 형사이고 한 명은 열혈 현직 형사입니다. 이 둘이 뭉쳐 디지털 성범죄를 해결해 가는데 그 과정에 코믹한 요소도 있고 액션도 있고 뭔가 메세지도 있었습니다. 그런 두 명은 배우 ‘라미란’ 과 ‘이성경’ 으로 둘의 케미 좋은 모습을 볼 수 있었고 ‘수영’, ‘윤상현’, ‘염혜란’ 등의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스토리는 얕은 편이지만 공감 가는 부분도 있어 볼 만 했습니다.


 이 영화 <걸캅스>는 여배우 두 명이 투톱으로 나서는 작품입니다. 전직 형사와 현직 형사를 앞세워 여성 디지털 성범죄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그 과정에서 여형사라는 점에서 오는 불리한 점이나 사건의 경중에 따른 제한점 등으로 많은 불합리한 점을 헤치고 범인을 잡는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스토리 중간 중간 공감되면서 답답한 면이나 안타까운 면 등을 느낄 수 있기도 하고 통쾌하거나 시원시원한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 <걸캅스>는 그런 여형사 두 명으로 배우 ‘라미란’ 과 ‘이성경’ 이 등장합니다. 이 영화의 스토리가 이 두 명을 중심으로 진행되는데 이 두 배우가 보여주는 케미가 재밌었습니다. 타격태격 거리기도 하고 찰떡 궁합의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고 전직 형사와 현직 형사가 펼치는 액션에서나 형사로서의 모습에서 좋은 호흡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여성 디지털 성범죄를 해결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나서는 모습이 인상적이기도 했는데 솔직히 액션의 퀄리티는 조금 아쉬웠습니다.

 이 영화 <걸캅스>에는 주인공들인 배우 ‘라미란’ 과 ‘이성경’ 의 조력자로 등장하는 ‘수영’ 의 모습도 인상적이었습니다. 걸그룹 ‘소녀시대’ 출신의 ‘수영’ 의 연기는 처음보는데 주인공들의 가장 큰 조력자로서 보여주는 모습과 활약이 좋았습니다. 코믹한 장면도 많았고 적절한 비중과 역할, 활약을 보여준 것 같습니다. 그에 반해 ‘윤상현’ 의 역할, 비중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라미란’ 을 조금 더 돋보이는 역할인 것 같은데 솔직히 어떤 역할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민폐 역할이거나 답답함을 주는 역할이라면 잘 소화한 것 같지만 정체모를 역할이었습니다.


 이 영화 <걸캅스>는 스토리가 그리 대단하진 않습니다. 크지 않은 스케일의 스토리에 배우 ‘라미란’ 의 좋은 연기와 ‘이성경’ 이라는 젊은 피의 조화가 잘 어우러져 코믹한 장면과 액션을 볼 순 있지만 액션의 퀄리티도 그리 대단하진 않은 것 같습니다. 코믹한 장면도 약간 부족하게 느껴졌고 액션의 퀄리티도 아쉬웠고 스토리도 그렇고 조금씩 부족하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그래도 여성 투톱 주연의 영화인 점과 메세지가 있는 점은 좋았습니다.

 남은 시간 48시간, 그들의 비공식 수사가 시작된다! 영화 <걸캅스>였습니다. 전현직 두 명의 여형사가 펼치는 열혈 수사를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배우 '라미란' 과 '이성경' 의 티격태격하면서도 케미 좋은 모습과 액션, 웃음 나는 장면들을 볼 수 있고 '수영', '윤상현', '염혜란' 등의 연기도 볼 수 있습니다. 전현직 여형사로 등장하는 '라미란' 과 '이성경' 중심으로 진행되는 스토리에 여형사라는 신분에서 오는 불리한 조건과 불합리한 일들이 함께 맞물려 수사를 더욱 어렵게 하고 디지털 성범죄를 수사하는 과정과 함께 뭔가 메세지를 담고 있는 스토리를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벼운 스토리에 코믹한 요소도 뭔가 조금 부족했고 액션의 퀄리티도 대단하진 않았습니다. ‘지옥 가자, 이 씹탱아.’ 영화 <걸캅스> 잘 봤습니다.


더 보이 Brightburn, 2019


▶개봉: 2019.05.23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공포, SF

▶국가: 미국

▶러닝타임: 90분

▶감독: 데이비드 야로베스키

▶출연: 잭슨 A. 던, 엘리자베스 뱅크스, 데이비드 덴맨


 인류의 재앙이 된 소년. 두려워하라. 영화 <더 보이>입니다. 초인적인 힘을 가진 어린 소년이 공포의 대상으로 묘사된 작품입니다. 거의 ‘슈퍼맨’ 같은 느낌의 능력과 힘을 가진 소년이 등장하는데 그런 소년이 주변 인물들에게 주는 공포 분위기를 느낄 수 있습니다. 어린 소년이 초인적인 능력으로 그런 존재로 표현되었다는 점이 인상적인데 생각보다 단순한 스토리와 꼼꼼하지 못한 스토리 구성이 아쉬웠습니다. 잘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도 있었습니다. 그리고 공포라고 하기 보다는 그냥 깜짝 깜짝 놀라는 장면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이 영화 <더 보이>는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어린 소년이 공포의 대상으로 등장하는 작품입니다. 그런 점이 참신하게 느껴졌고 흥미가 생기기도 했습니다. 아직 어머니 아버지가 키우고 있고 아직은 연약한 나이의 어린 꼬마 아이가 자신의 초인적인 능력으로 주변을 공포로 물들이는 장면들은 인상적이기도 했습니다. 보통 사람들은 대항할 수 없는 어른들도 대항하지 못할 정도로 강력한 힘과 능력입니다. 어린 아이가 펼치는 피로 물든 공포 분위기를 느낄 수는 있지만 공포라고 하기 보다는 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이 영화 <더 보이>에서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어린 소년은 힘도 쎄고 하늘도 날아 다닐 수 있고 눈에서 레이저도 발사할 수 있습니다. 능력 하나 하나만 따지고 보면 거의 ‘슈퍼맨’ 하고 비슷한 능력입니다. 강철 같은 피부도 보여주는데 ‘슈퍼맨’ 이 등장한 영화에서 ‘슈퍼맨’ 이 보여줬던 모습들과 비슷합니다. 그런 자신의 능력을 알고 자신의 능력에 심취한 모습을 보여주면서 가면도 쓰고 망초도 두르는 등 어린 아이의 심리와 공포가 적절히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초인적인 누구도 가질 수 없는 특별한 힘을 가진 소년은 어린 아이라는 점에서 충동적이고 감정적인 모습들을 보여줍니다. 그런 나이와 아직은 미성숙한 존재가 가진 강력한 힘이 어떻게 사용되고 어떤 상황이 벌어지는 지를 잘 보여줍니다. 미성숙한 아이에게 그런 힘이 있다는 설정이 참신했고 어린 아이보다 힘이 세고 성숙한 존재들인 어른들이 피해를 입는 다는 점이 인상적이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감정적인 모습을 보여주면서도 사람들을 공격하는 모습에서는 별다른 감정이 느껴지지 않는 무표정의 얼굴이 인상적이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 <더 보이>는 공포의 존재인 소년이 주변을 공격하고 피로 물들이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런 모습에 15세 관람가 영화이긴 하지만 생각보다 잔인한 장면들이 많이 있었습니다. 피 튀기는 장면들은 당연하고 청소년 관람불가라고 해도 될 만큼의 잔인한 장면들이 꽤 있었습니다. 어린 아이가 힘을 가지면 감당하지 못하는 것인지 심취한 것인지 이토록 잔인해질 수가 있나 싶을 정도였습니다. 순진한 천사 같은 아이의 모습이 아닌 지옥에서 올라 온 악마와 같은 모습의 어린 소년을 볼 수 있는 잔인한 영화입니다.

 이 영화 <더 보이>는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어린 아이라는 점에서 신선한 소재라고 생각되고 좋았지만 스토리 구성이나 개연성에서 아쉬운 점이 있었습니다. 초인적인 능력을 가진 소년이 어떤 계기로 흑화가 되는지 어떤 존재인디에 대해서는 간단하게만 알 수 있을 뿐 별다른 설명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약간 이해가 안 되는 부분도 조금 있었습니다. 그렇다보니 어떤 때에는 그저 살인마가 살인을 하고 다니는 슬래셔 장르의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조금 더 스토리가 꼼꼼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들었습니다.

 다른 세계에서 온 소년. 축복인가, 재앙인가. 영화 <더 보이>였습니다. 영웅 같은 힘으로 악마의 공포를 보여주는 소년을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초인적인 능력이 어린 아이에게 있어 어떻게 사용되는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볼 수 있고 미성숙한 어린 소년에게 그 힘은 어떤 것인지 볼 수 있습니다. 마치 ‘슈퍼맨’ 의 어린 시절을 보는 듯한 능력이지만 주변을 피로 물들이는 잔인한 장면들도 볼 수 있고 읽을 수 없는 표정으로 감정 없는 모습들이 섬뜩하게 느껴지기도 하는 인상적인 장면들도 있지만 개연성이 부족한 스토리 구성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그리고 공포라고 하기 보다는 그냥 깜짝 깜짝 놀라는 장면들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집이야, 엄마.’ 영화 <더 보이> 재밌게 봤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