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인스 The Ruins, 2008


▶개봉: 2008.04.04.(USA)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장르: 공포, 스릴러

▶국가: 미국, 독일, 오스트레일리아

▶러닝타임: 91분

▶감독: 카터 스미스

▶출연: 조나단 터커, 지나 말론


 심연보다 깊은 끝없는 공포가 시작된다!! 영화 <루인스>입니다. 식물을 공포의 소재로 나오는 작품입니다. 식충식물처럼 인간을 공격하는 식인식물인데 독특한 소재로 느껴져서 좋았고 식물이 주는 공포가 어떤 건지 어느 정도인지 흥미가 생기는 작품입니다. 약간 눈살을 찌뿌릴 정도의 잔인한 장면도 있고 호러 요소도 있어 긴장감 느껴지는 공포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식물에게서 긴장감이 느껴지는 공포가 느껴진다는 점이 신기하기도 했고 생각보다 역동성이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 <루인스>는 식인식물에 둘러싸여 한 공간에 갇혀 생존해 나가는 작품입니다. 공간에 제약이 있어 조금 루즈하거나 몰입감이 떨어질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그런 면은 적었습니다. 작은 공간에서도 여러 상황들이 발생하고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었습니다. 발생하는 상황들도 신기하기도 하고 무섭기도 한데 식물에 의한 공포가 처음에는 와닿지 않았습니다. 움직이는 동물도 아니고 가만히 있는 식물이 인간을 공격하는 모습이 상상이 되지 않았었는데 이 영화를 보면 식물에 대한 공포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 영화 <루인스>에서 인간을 공격하는 식물은 정말 잔인합니다. 웬만한 공포 영화에 등장하는 살인마보다 더 잔인한 면을 많이 보여줍니다. 그런 부분이 징그럽고 흉측한 측면도 있지만 식인식물에 의한 직접적인 죽음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이 식물에 의해 사람들이 패닉에 빠지고 그로 인해 혼란과 갈등이 오면서 죽음으로 이어지는 장면들을 보여줍니다. 그 과정에서 정체불명의 식인식물이 지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죽음으로 가는 그 과정이 스멀스멀 진행되기 때문에 긴장감이 천천히 다가오면서 심장 쫄깃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영화 <루인스>는 깜짝 깜짝 놀라는 장면이 없는 공포 영화입니다. 공포 영화를 잘 못 보시는 분들 중에 깜짝 놀라는 장면들 때문에 못 보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 영화는 깜짝 놀라는 장면이 별로 없기 때문에 그런 분들에게도 이 영화는 관람 가능할 것 같습니다. 편안하게 볼 수는 없지만 스멀스멀 피어오르는 공포감과 긴장감, 약간은 징그럽고 혐오스러운 장면들이 있긴 하지만 공포 영화의 요소 중 하나인 소리에 의한 공포도 적기 때문에 괜찮을 것 같습니다.

 이 영화 <루인스>에 등장하는 인물 중 배우 ‘조나단 터커’ 가 연기한 ‘제프’ 라는 인물이 있는데 이 ‘제프’ 가 이 영화의 스토리를 거의 이끌어가는 중심인물 역할을 합니다. 뭔가 상황이 발생하면 해결하고자 하는 리더격의 인물인데 이 ‘제프’ 가 은근히 긴장감을 느끼게 해줍니다. 해결하려는 과정이 혹독하기도 하고 리스크가 있기 때문인데 영화를 보면서 과연 성공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연기를 잘하고 못하고를 떠나서 이 ‘제프’ 라는 인물의 존재가 이 영화를 더 긴장감 있게 몰입감 있게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정체불명 식물의 공격. 영화 <루인스>였습니다. 식물이 사람들에게 공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식인식물로서 식물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면서도 그 공포로 사람들에게 역동적인 부분을 부여하고 패닉 상황에 빠지게 하면서 혼란과 갈등에 빠지게 합니다. 그로인해 스멀스멀 긴장감이 올라오고 공포를 느낄 수 있습니다. 약간 징그럽고 혐오스러운 장면들도 있어 그 공포감이 더 크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깜짝 깜짝 놀래키는 장면은 없어서 심장 벌렁거리는 느낌은 적었습니다. ‘여기에서 죽을 순 없어.’ 영화 <루인스> 재밌게 봤습니다.

신라의 달밤 Kick The Moon, 2001


▶개봉: 2001.06.23.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코미디, 액션

▶국가: 한국

▶러닝타임: 119분

▶감독: 김상진

▶출연: 이성재, 차승원, 김혜수


 일등급깡패 vs 조폭급선생 & 초특급왈가닥. 영화 <신라의 달밤>입니다. 코믹한 요소가 가득한 조폭 영화로 진짜 깡패와 깡패 같은 선생이 펼치는 운명의 대결을 그린 작품입니다. 배우 ‘차승원’ 과 ‘이성재’ 그리고 ‘김혜수’ 가 주요 인물로 등장하고 ‘이종수’, ‘이원종’, ‘성지루’, ‘유해진’ 등이 조연으로 등장하여 코믹한 장면을 더 코믹하게 만들어줍니다. 어릴 때 학창시절이 생각나기도 하고 웃으면서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스토리 자체도 무난하게 진행되고 갈등구조가 얽히고 설키는 연출도 좋았습니다.

 이 영화 <신라의 달밤>은 흥미로운 오프닝으로 시작합니다. 이 영화의 주요 배경지인 경주에서 고등학생들의 수련회로 시작하는데 예전 학생 시절 생각도 나고 추억도 생각나고 옛 향수를 느낄 수 있어 좋았습니다. 2001년 작품이라 그런지 예전 감성으로 출발해서 예전 감성으로 끝나는 작품인지라 요즘 감성을 추구하시는 분들에게는 안 맞을 수도 있지만 고전 영화나 옛 감성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재밌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약간 촌스러운 느낌도 없지 않게 있습니다.

 출연하는 배우들이 좋아서 이 영화 <신라의 달밤>을 본 것도 있습니다. 주요 인물들이 배우 ‘차승원’, ‘이성재’, ‘김혜수’ 인데 이 주요 배우들 말고도 ‘유해진’, ‘이종수’, ‘성지루’, ‘이원종’, ‘조상건’ 등이 출연합니다. 코미디와 액션이 적절히 어우러진 영화라서 배우 ‘차승원’ 의 존재감이 너무 좋았습니다. 코미디면 코미디, 액션이면 액션 모두 감칠 맛있게 보여주는데 그 표정까지도 너무 좋았습니다. 액션은 그리 퀄리티가 대단하진 않았지만 액션이 펼쳐지는 상황에서 현실적인 액션을 보여주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막 날아다니고 하는 액션이 아니라 치고 박고 구르고 하는 그런 액션입니다.


 배우 ‘김혜수’ 의 연기도 좋았는데 무엇보다 인물 설정이 좋았습니다. 사투리를 쓰는 왈가닥인데 코미디 연기를 하기에 너무 좋은 설정 같습니다. 연기 자체도 자연스러웠고 ‘김혜수’ 라는 배우에게 너무 잘 어울렸던 것 같습니다. 그 외에도 배우 ‘이원종’, ‘유해진’, ‘성지루’ 등의 연기도 너무 좋았는데 모두 코믹한 모습을 많이 보여줘서 웃으면서 영화를 봤습니다. 특히 영화 <타짜>에서 ‘너구리’ 형사로 등장했던 배우 ‘조상건’ 은 장면 장면 한 번씩 등장하는데 그 목소리와 설정이 재밌었습니다. 그런데 주요 인물 중 한 명인 배우 ‘이성재’ 는 약간 어색한 느낌을 받았는데 경주라는 배경에 사투리 천지인 곳에서 혼자 깔끔하고 사투리를 안 써서 그런 것 같기도 하고 약간 딱딱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영화 <신라의 달밤>의 스토리는 그리 대단하진 않지만 상황이 점점 고조되다가 겹치고 겹쳐서 한꺼번에 터지는 전개를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그저 웃으면서 보다가 점점 흥미진진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웃음 넘치는 장면과 함께 은근한 긴장감까지 느낄 수 있는 영화의 후반부는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걷잡을 수 없게 커진 상황에서 친구와의 의리와 우정이 터져 나오고 코믹한 요소로 인해 마지막까지 웃으면서 볼 수 있습니다.

 운명을 건 맞짱! 영화 <신라의 달밤>이었습니다. 학교 다니던 시절을 떠올리면서 웃으면서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2001년 작품으로 그때에도 지금도 명배우들인 배우 ‘차승원’, ‘이성재’, ‘김혜수’, ‘이원종’, ‘성지루’, ‘유해진’ 등을 볼 수 있고 그 배우들이 보여주는 코믹한 장면은 많은 웃음을 줍니다. 스토리는 대단하진 않지만 전체적으로 많은 웃음과 간간한 액션, 훈훈한 결말을 볼 수 있습니다. 현대 감성과는 조금 맞지 않은 옛 감성 가득한 작품이지만 옛 감성을 좋아하시는 분들은 재밌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젠 친구들이랑 같이 있고 싶다.’ 영화 <신라의 달밤> 재밌게 봤습니다.

13일의 금요일 7: 새로운 살인 Friday The 13th Part VII: The New Blood, 1988


▶개봉: 1988.05.13.(USA)

▶등급: 청소년 관람불가

▶장르: 공포, 액션

▶국가: 미국

▶러닝타임: 90분

▶감독: 존 칼 버에츨러

▶출연: 라 파크 링컨, 케빈 스피어타스, 수잔 블루, 테리 키저


 다시 전개되는 무차별 살인. 영화 <13일의 금요일 7: 새로운 살인>입니다. 전작 <13일의 금요일 6: 제이슨 살아있다>에서 많은 시간이 지나고 다시 살인마 ‘제이슨’ 이 부활하여 살인을 저지르는 스토리입니다. 그리고 그런 ‘제이슨’ 과 그동안의 영화 <13일의 금요일> 시리즈에서는 볼 수 없었던 타입의 주인공과의 대결이 펼쳐집니다. 전혀 다른 분위기의 작품이고 루즈한 스토리 전개로 긴장감은 거의 느낄 수 없었습니다. 게다가 황당한 결말까지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이 영화 <13일의 금요일 7: 새로운 살인>은 전작 <13일의 금요일 6: 제이슨 살아있다>에서 이어지는 스토리로 살인마 ‘제이슨’ 은 오랜 시간 동안 물속에 있다 부활했기 때문에 그 모습이 물속에서 썩고 부패해서 흉측하게 생겼습니다. 하키 가면은 그대로 쓰고 있지만 삭은 옷 사이로 부패한 피부의 색이나 상태가 보이고 심지어는 뼈까지 보일 정도입니다. 이제는 언데드를 넘어 완전 괴물이 되어버린 ‘제이슨’ 인데 모습은 괴물일지라도 본래의 그 카리스마는 느낄 수 없었습니다. 왠지 스토리의 희생양인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스토리의 희생양 같은 느낌은 이 영화 <13일의 금요일 7: 새로운 살인>의 주인공인 ‘티나’ 때문입니다. ‘티나’ 는 정신력으로 물건을 움직일 수 있는 초능력을 가진 인물입니다. 살인마와 초능력을 가진 주인공이라니 정말 어색한 조합입니다. 그런데 이 주인공인 ‘티나’ 는 영화 <13일의 금요일 5: 새로운 시작>과 < 금요일 6: 제이슨 살아있다>의 주인공인 ‘토미’ 와는 다른 존재감을 보여줍니다. ‘토미’ 가 주인공으로 등장한 작품에서는 ‘토미’ 와 ‘제이슨’ 의 스토리가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면서 겹쳐 보이기까지 한 전개였는데 이 영화의 주인공 ‘티나’ 는 ‘제이슨’ 과 전혀 그런 접점이 없었습니다.


 주인공 ‘티나’ 와 ‘제이슨’ 의 어색한 조합은 스토리를 굉장히 루즈하게 만들었고 어이없는 황당한 결말을 보여주었습니다. 황당한 전개도 보이고 ‘제이슨’ 이 저지르는 살인에서는 긴장감을 거의 느낄 수 없었습니다. ‘제이슨’ 이 등장할 타이밍도 알 수 있었고 이전 시리즈에서부터 느껴왔지만 ‘제이슨’ 이라는 살인마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그럼에도 분명 매력적인 인물이지만 초능력을 쓰는 ‘티나’ 와의 조합은 ‘제이슨’ 만의 매력을 많이 다운시키는 것 같았습니다. 분명 초능력을 쓰는 인물의 등장은 신선할 것 같았지만 결과는 별로였습니다.

 그런 설정을 가진 인물이 살인마 ‘제이슨’ 의 숙적으로 등장하니 이 영화 <13일의 금요일 7: 새로운 살인>의 긴장감을 전체적으로 떨어뜨리는 느낌이었습니다. 분명 ‘제이슨’ 이 칼을 들고 도끼를 들고 어둠 속에서 갑작스럽게 등장해서 놀라키는 것 같지만 전혀 놀랍지도 않았고 강력한 대항마가 있으니 공포감도 별로 느껴지지 않았습니다. ‘제이슨’ 이 분명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긴 하지만 그 모습에서 확실하게 한계를 보여주는 느낌이었고 흉측한 외모와 모습에 비해서는 그 활약이 그리 인상적이진 않았습니다.

살인마와의 처절한 사투. 영화 <13일의 금요일 7: 새로운 살인>이었습니다. 전작 <13일의 금요일 6: 제이슨 살아있다> 이후 살인마 ‘제이슨’ 이 살아나면서 펼쳐지는 무차별 살인을 보여줍니다. 오랜 세월의 풍파를 맞은 부패하고 흉측한 괴물이 된 ‘제이슨’ 과 초능력을 가진 주인공 ‘티나’ 가 등장하여 사투를 벌이지만 신선할 것 같았던 초능력 주인공은 오히려 영화의 긴장감을 떨어뜨리면서 긴장감 없는 공포를 보여주었습니다. 주인공의 활약과 설정이 아쉬웠던 작품이었고 흉측한 ‘제이슨’ 의 한계를 느끼게 해준 작품이기도 합니다. ‘내가 그를 죽였어.’ 영화 <13일의 금요일 7: 새로운 살인> 잘 봤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