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가사리 Tremors, 1990


▶개봉: 1990.09.08.

▶등급: 12세이상 관람가

▶장르: 코미디, SF, 공포

▶국가: 미국

▶러닝타임: 92분

▶감독: 론 언더우드

▶출연: 케빈 베이컨, 프레드 워드, 핀 카터, 마이클 그로스, 빅터 웡, 로버트 제인, 아리아나 리처즈, 레바 매킨타이어


 거대한 변화가 발밑에서 일어나고 있다! 영화 <불가사리>입니다. 땅 속 괴물의 공격으로부터 생존하는 작품입니다. 원제는 ‘Tremors’ 인데 한국 제목이 왜 ‘불가사리’ 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이 영화에 등장하는 괴물은 포스터의 모습처럼 생기진 않았습니다. 포스터의 모습처럼 이빨이 저렇게 강조된 괴물이 아닙니다. 포스터만 보면 엄청 무시무시한듯 하지만 영화상에서는 저 정도의 느낌은 아니지만 사람들을 고립시키고 땅 속에서 점점 조여 오는 압박이 상당한 존재입니다.

 이 영화 <불가사리>는 땅 속 괴물인 ‘그래보이드’ 입니다. ‘그래보이드’ 는 이 영화에 등장하는 땅 속 괴물을 지칭하는 명칭입니다. 뱀의 돌연변이라고 하는데 뱀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고 짧고 굵게 똥똥하게 생겼습니다. 이 ‘그래보이드’ 는 전체적인 외형보다는 사람을 공격하는 사냥법이 더 무섭습니다. 전체적인 외형은 대부분 땅 속에 있기 때문에 잘 볼 순 없습니다. 땅 속을 통해 사람을 쫓아오고 주위를 에워싸는 그런 압박감을 잘 보여줍니다. 어디를 가도 땅 위라면 어디든 쫓아오는 집요한 사냥꾼입니다.

 이 영화 <불가사리>는 그런 ‘그래보이드’ 가 사람들을 쫓아오고 압박하고 고립시킵니다. 그래서 사람들은 처음에는 ‘그래보이드’ 의 존재로 그 자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다가 탈출을 감행하게 되고 그 과정에 약한 사람들은 한 명 두 명씩 ‘그래보이드’ 의 먹이가 되는 패턴을 반복하는 스토리입니다. 그런 스토리에서 사람들을 포위하고 압박을 가하는 장면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안전한 장소도 점점 위험하게 바뀌고 탈출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만들고 탈출하면 바로 쫓아오고 사람들로서는 땅을 밟을 수 없는 너무나도 무섭고 성가신 존재감을 보여줍니다.


 이 영화 <불가사리>에는 배우 ‘케빈 베이컨’ 이 등장합니다. ‘케빈 베이컨’ 말고는 모두 모르는 배우들이지만 괴물과 대치하여 물리치기 위해 힘을 합치는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그런 사람들 중엔 민폐 캐릭터도 있고 코미디 당담 캐릭터도 있고 답답함을 유발하는 캐릭터도 있습니다. 물론 분란을 조정하는 인물도 있습니다. 그런 여러 설정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안전한 장소에서도 분위기가 루즈하지 않게 여러 상황을 보여줍니다. 코믹한 요소들도 꽤 있어 긴장을 풀어주다가도 ‘그래보이드’ 의 공격으로 다시 긴장감이 느껴지기도 합니다.

 이 영화 <불가사리>는 완전 괴물 ‘그래보이드’ 와 사람들 중심의 영화입니다. 사람들에 대한 ‘그래보이드’ 의 공격과 ‘그래보이드’ 의 공격으로부터 죽임을 당하거나 도망치거나 맞서거나 하는 등의 ‘그래보이드’ 와 사람 중심의 스토리입니다. 중간 중간 볼 수 있는 러브라인 같은 요소들고 그냥 지나치는 정도로 치부됩니다. 러브라인이라는 것을 느낄 순 있지만 ‘그래보이드’ 와의 대결에서도 별다른 영향이 없고 전체적인 스토리에도 별다른 영향이 없습니다. 그래서 온전한 ‘그래보이드’ 괴수 영화입니다.

 지구의 몸부림인가? 영화 <불가사리>였습니다. 땅 속에 사는 ‘그래보이드’ 의 공격에 맞서는 사람들을 볼 수 있는 작품입니다. 단순한 스토리지만 괴물 ‘그래보이드’ 와 사람들 간의 치열한 사투에 집중되었고 땅 속에서 사람들에게 위협을 가해 긴장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그런 공격에 사람들은 안전한 장소에 고립되고 안전한 장소도 위험해지면 탈출을 감행하고 탈출한 사람들을 다시 쫓는 ‘그래보이드’ 를 볼 수 있습니다. 적당한 코미디에 적당한 긴장감을 느낄 수 있는 괴수 영화입니다. ‘날수 있으면 날아봐라! 멍청아!’ 영화 <불가사리> 재밌게 봤습니다.

소림축구 Shaolin Soccer, 2001


▶개봉: 2002.05.17.

▶등급: 15세 관람가

▶장르: 코미디, 액션

▶국가: 홍콩, 중국

▶러닝타임: 87분

▶감독: 주성치

▶출연: 주성치, 자오웨이, 오맹달


 전 세계를 폭소로 뒤흔든 절대무공의 드림팀이 온다!! 영화 <소림축구>입니다. 감독이자 배우인 ‘주성치’ 의 코미디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각종 무술을 축구에 접목시킨 코미디 영화입니다. 기상천외한 축구를 볼 수 있고 사회적으로 루저인 사람들이 모여 멋진 축구 경기를 펼칩니다. 배우 ‘주성치’ 를 비롯해 ‘오맹달’, ‘자오웨이’, ‘황일비’, ‘막미림’, ‘전계문’ 등의 배우들이 보여주는 오버스러운 연기는 어색하지도 않았고 웃음을 주기에는 충분했습니다. 이렇게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지만 모두 각자의 역할로 좋은 호흡을 보여줍니다.


 이 영화 <소림축구>는 지금 다시 봐도 웃으면서 볼 수 있는 ‘주성치’ 식의 코미디 영화입니다. 사회적으로 루저인 사람들이 모여 큰 성과를 이루고 성공하는 스토리 라인을 보여주는데 주인공인 배우 ‘주성치’ 가 연기한 ‘씽씽’ 은 고철이나 폐지를 주워다 파는 일을 하는 인물이고 ‘씽씽’ 의 형제들은 청소 일을 하면서 주위에서 멸시와 무시를 당하거나 식당에서 설거지를 하면서 자신의 외모를 비관하거나 성과 없이 바쁘게 일만 하거나 집에만 틀어박힌 백수이거나 마트에서 일하면서 살이 쪄 뚱뚱하거나 하는 사회적으로도 밑바닥에 있는 인물들입니다. 그런 그들이 힘을 합쳐 무언가를 한다는 것이 큰 결심이고 그것이 축구입니다.

 그렇게 모인 인물들은 각자의 능력을 이용한 축구를 보여줍니다. 모두 소림사 출신인 설정인데 주인공인 ‘씽씽’ 은 축구에서 중요한 강력한 다리로 엄청난 슛을 쏩니다. 그리고 무쇠머리로 엄청난 헤딩을 하거나 브레이크 댄스에서 토마스 같은 기술을 이용하여 공을 간수하거나 강력한 철갑을 두른 듯한 몸으로 수비를 하거나 엄청난 속도로 손을 뻗어 공을 막거나 굉장한 점프력으로 공중볼을 빼앗거나 하는 등 각자 고유의 능력을 살린 축구를 보여줍니다. 

 그런 인물들 중심에는 당연히 ‘씽씽’ 이 있고 그리고 또 ‘오맹달’ 이 있습니다. 많은 영화에서 ‘주성치’ 와 환상의 호흡을 보여준 배우인데 영화 <서유기: 월광보합>과 <서유기 2: 선리기연>, <식신>, <녹정기> 시리즈 등에서 ‘주성치’ 와의 호흡을 볼 수 있습니다. 당연히 이 영화 <소림축구>에서도 ‘주성치’ 가 연기한 ‘씽씽’ 과 ‘오맹달’ 이 연기한 ‘명봉’ 이 중심이 되어 스토리가 진행됩니다. 영화 초반에는 이 두 사람의 호흡으로 많은 웃음을 주기도 하고 영화가 진행될수록 다른 주변 사람들과의 호흡으로 많은 웃음을 만들어 냅니다.


 그리고 이 영화 <소림축구>에는 배우 ‘자오웨이’ 가 등장합니다. 이 ‘자오웨이’ 가 연기한 ‘아미’ 는 이 영화의 주역들처럼 사회적으로 루저입니다. 만두 가게에서 일하는 추녀 중에 추녀인데 주인공 ‘씽씽’ 을 만나면서 인생이 바뀌는 여인입니다. 처음에는 웃긴 역할이 아니었던 것 같은데 스토리가 진행될수록 점점 많은 웃음을 만들어 냅니다. ‘자오웨이’ 는 영화 <적벽대전> 시리즈와 <화피> 시리즈에 등장하여 꽤나 익숙한 배우였습니다. 이 영화에서는 후반부에 정말 멋진 모습을 보여주는데 그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이 영화 <소림축구>는 코미디 영화지만 의외로 스토리가 차근차근 진행되는 느낌입니다. 주인공 ‘씽씽’ 이 ‘명봉’ 과의 인연이 시작된 순간부터 축구를 하게 되는 계기, 팀원을 설득하여 모으고 축구 연습을 하고 시합을 하게 되는 등 차근차근 진행됩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웃음을 주고 멋진 액션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리고 단순히 축구를 하는 스토리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거지처럼 살라오다가 바뀐 상황과 환경의 변화로 인해 조금은 변한 주인공을 볼 수 있고 그런 부분이 이 영화에서 크게 부각되진 않지만 축구에도 연관 지어 스토리가 진행되는 점이 좋았습니다. 

 삶의 의욕을 잃어버린 자들의 축구 한 판! 영화 <소림축구>였습니다. 감독이자 배우로서 이 영화에 출연한 ‘주성치’ 만의 코미디를 볼 수 있는 작품으로 개성 강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합니다. 각자의 스타일로 축구를 하는 모습과 그들이 모여 경기를 뛰거나 연습을 하는 모습에도 많은 웃음이 납니다. ‘주성치’ 를 비롯해 ‘오맹달’ 과 ‘자오웨이’ 등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모두 좋은 호흡을 보여주었고 많은 웃음을 줍니다. 그리고 생각보다 좋은 스토리에서 소림 무술을 축구에 접목시킨 참신한 장면들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 차례군.’ 영화 <소림축구> 재밌게 봤습니다.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Star Wars: The Last Jedi, 2017


▶개봉: 2017.12.14.

▶등급: 12세 관람가

▶장르: 액션, 모험, 판타지, SF

▶국가: 미국

▶러닝타임: 152분

▶감독: 라이언 존슨

▶출연: 데이지 리들리, 마크 해밀, 아담 드라이버, 오스카 아이삭, 캐리 피셔, 존 보예가


 선과 악의 전쟁, 거대한 운명이 결정된다.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입니다.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의 여덞 번째 작품으로 전작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에서 이어지는 스토리를 볼 수 있습니다. 전작에서 흥미롭게 끝난 결말이 그대로 이어지고 <스타워즈>의 주역인 ‘루크 스카이워커’ 를 배우 ‘마크 해밀’ 이 그대로 연기해서 좋았습니다. 그리고 전작에 이어 원래의 주역들과 새로운 주역들의 세대교체가 일어나고 신구 인물들 각자의 능력과 역할이 조금은 분명해지는 작품입니다.

 이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는 초반부터 엄청 박진감 넘치는 액션이 펼쳐집니다. 우주 비행 액션인데 우주 전함, 우주선, 우주 전투기 등이 펼치는 전투 액션이 볼만했습니다. 거대한 세력을 자랑하는 ‘퍼스트 오더’ 에 맞서는 저항군의 세력은 초라하게 느껴질 정도였지만 그래도 ‘퍼스트 오더’ 에게는 골칫덩이 수준의 세력으로 팽팽한 대립을 초반부터 보여줍니다. 팽팽하다고는 하나 사실 일방적으로 밀리는 모습을 그동안에도 많이 보여줬었는데 이 영화의 초반부는 반격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우주 전투를 보여줍니다.


 전작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에서 예전 주역들인 배우 ‘해리슨 포드’ 가 연기한 ‘한 솔로’ 나 ‘캐리 피셔’ 가 연기한 ‘레아’ 공주, ‘마크 해밀’ 이 연기한 ‘루크 스카이워커’ 가 또다시 그대로 등장합니다. 특히 이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에서는 전작의 흥미로웠던 결말로 인해 ‘루크 스카이워커’ 의 등장이 <스타워즈> 팬들에게는 엄청나게 반가웠을 것 같습니다. 전작에서는 잠깐 등장했는데도 존재감이 있었는데 이 영화에서는 꽤나 많은 분량으로 등장합니다. 광선검도 휘두르고 포스도 보여주고 예전 ‘루크 스카이워커’ 의 힘과 기술을 그대로 보여주어 좋았습니다. 그 분량이 많진 않아 아쉬운 감도 있었지만 그래도 ‘루크 스카이워커’ 의 활약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또 다른 주역이었던 배우 ‘캐리 피셔’ 의 ‘레아’ 공주는 나이가 들었지만 여전히 저항군의 리더로서의 역할을 보여줍니다. 안타까운 마음도 드는 점이 배우 ‘캐리 피셔’ 가 실제로 심장마비로 사망하면서 이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가 배우 ‘캐리 피셔’ 의 유적이 되었습니다. 그 사실을 알고 이 영화를 보니 ‘레아’ 공주가 등장할 때마다 안타까운 느낌과 애틋한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그동안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를 이끌어 온 주인공이기도 했고 <스타워즈>의 스핀오프 영화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에서의 젊은 시절의 모습도 생각이 나서 그런 느낌이 더 들었던 것 같습니다.

 이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는 예전의 주역들의 활약과 그 모습에 비해 새로운 주역들에게는 조금 아쉬운 면이 있었습니다.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의 새로운 주역인 배우 ‘데이지 리들리’ 가 연기한 ‘레이’ 는 전작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에서 보다는 크게 인상적이진 않았습니다. 중후반부에 ‘카일로 렌’ 과 펼치는 액션은 분명 인상적이긴 했지만 영화 전체적으로 거의 메인 주인공이지만 그만한 느낌이 들진 않았습니다. 배우 ‘아담 드라이버’ 가 연기한 ‘카일로 렌’ 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 영화에서도 크게 카리스마 있는 느낌이 아니었습니다. 영화 내에서도 ‘다스 베이더’ 의 후계자처럼 묘사가 되는데 ‘다스 베이더’ 만큼의 존재감도 활약도 부족했습니다.


 그리고 배우 ‘존 보예가’ 가 연기한 ‘핀’ 은 전작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에서도 그랬지만 이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에서도 큰 비중이 있진 않았습니다. 그런 ‘핀’ 과 배우 ‘켈리 마린 트란’ 이 연기한 ‘로즈’ 가 이 영화에서 콤비로 나오는데 이 두 인물이 함께 활약하는 장면이 많습니다. 그런데 ‘핀’ 과 ‘로즈’ 는 이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와는 조금 맞지 않는 뜬금없는 분위기를 연출해서 의아하게 느껴지기도 했습니다. 단지 인상적이었던건 ‘로즈’ 를 연기한 배우 ‘켈리 마린 트란’ 이 동양인이라는 점입니다.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에 동양인이 어느 정도 분량이 있는 역할로 나와 반갑기도 했습니다.

 이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는 스토리 전개가 다소 느린 편입니다. 초반의 박진감 넘치는 액션 부분 말고는 스토리가 느리게 전개되는 편이고 평이하게 흘러갑니다. 그래서 영화의 중후반부의 액션이나 후반부의 전투장면을 볼 때까지 조금 지루하게 느껴질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핀’ 과 ‘로즈’ 가 펼치는 스토리는 이 영화 전체적으로 그다지 필요 없었을 것 같은 느낌이었습니다. ‘핀’ 과 ‘로즈’ 가 등장할 때면 스토리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었습니다. 그래서 든 느낌이 ‘핀’ 과 ‘로즈’ 분량 때문에 다른 주역들인 ‘레이’ 나 ‘카일로 렌’, ‘루크 스카이워커’ 의 분량이 적어졌다는 느낌입니다. 이 영화에서 ‘핀’ 과 ‘로즈’ 를 스토리에 자연스럽게 담아 내지 못한 점은 너무 아쉬웠습니다.

 새로운 운명을 받아들여라.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였습니다.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 주역들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고 각자의 능력과 역할이 조금은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특히 배우 ‘마크 해밀’ 이 연기한 ‘루크 스카이워커’ 를 볼 수 있어 좋았고 배우 ‘캐리 피셔’ 가 마지막으로 연기한 ‘레아’ 공주를 볼 수 있어 애틋한 느낌이 들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지루한 스토리 전개와 제대로 스토리에 녹아들지 못한 인물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여전히 카리스마 부족한 ‘카일로 렌’ 도 아쉬웠습니다. 스토리 자체에는 진전이 좀 없는 편이긴 하지만 세부적인 내용이나 주역들의 세대교체를 생각하면 영화 <스타워즈> 시리즈 팬들에게 있어서는 안 볼 수 없는 작품입니다. ‘우리는 이미 전부 다 갖추고 있어.’ 영화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잘 봤습니다.

+ Recent posts